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슈뢰딩거의 고양이 : 직장인도 꼭 알고 있어야 할 과학 상식

by CT알고트 2023. 7. 29.

슈뢰딩거의 고양이란 물리학자 에르윈 슈뢰딩거가 제시한 양자역학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상상 속의 실험입니다.

 이 실험은 양자역학의 이론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양자역학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슈뢰딩거의 고양이에 대해 가능한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걱정마, 상상속 실험이래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

 

  • 상자 안에 귀여운 고양이가 있어요! 이 고양이는 매우 특별한 실험을 하게 될거에요.
  • 이 실험에서는 고양이의 상태를 알기 위해 상자 안에 있는 양자 물질들을 사용해요. 이 양자 물질들은 고양이를 보호하는 마법과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어요.
  • 그런데 이 양자 물질들 때문에 고양이의 상태는 불확실해져요. 정확히 살아있는지, 죽어있는지 알 수 없다는거에요. 고양이는 동시에 두 가지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해봐요.
  • 하지만 우리가 고양이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상자를 열어야 해요. 하지만 이렇게 상자를 열면 고양이의 상태가 바뀔 수 있어요.
  • 그래서 결국 상자를 열기 전까지는 정확하게 고양이가 살아있는지 죽어있는지 알 수 없다는거죠.


어린이도, 할머니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한다는게 그만... 

쉽지 않죠? 하지만 대충은 뭔지 아시겠죠? ^^

 

 

상자안의 고양이가 살아있는지 알려면 상자를 열어서 보아야 하는데 상자를 열면 그 순간 고양이가 죽을 수도 있다는 거에요. 그러니 확인하는 순간 고양이의 상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상자를 열기전에 고양이가 살아있었는지 죽어있었는지 알 수 없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양자역학의 초상성 원리

 

이 실험에서 가장 특별한 점은 양자역학의 초상성 원리입니다. 양자역학은 아주 작은 입자들의 동작을 다루는데, 이 입자들은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물체와는 매우 다르게 동작합니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측정되기 전까지 입자들은 모든 가능한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즉, 고양이는 동시에 살아있는 상태와 죽은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우리의 측정과 불확정성

 

하지만 현실에서는 고양이가 동시에 살아있는 것과 죽은 것으로 존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우리가 상자를 열어서 고양이의 상태를 확인하면, 고양이는 살아있거나 죽은 상태로 확정됩니다. 이렇게 양자역학의 이상한 특징 때문에 우리는 고양이의 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의 측정은 입자들의 상태를 바꿔버리기 때문에, 어떤 상태에 있을지 정확하게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 양자역학에서 말하는 "측정의 문제"입니다. 고양이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뭔가를 해야하지만, 그렇게 되면 그 상태는 변화하게 됩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의 의미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은 양자역학이 어떤 점에서 이상하고 신기한 이론인지를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진 상상 속의 실험입니다. 이 실험은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에서는 겪지 않는 이상한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양자역학은 아주 작은 입자들의 동작을 다루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경험하지 않는 현상들을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은 양자역학에서 불확정성의 개념을 강조합니다. 양자역학에서는 아주 작은 입자들의 동작을 다루는데, 이 입자들은 일상에서 경험하는 물체들과는 다르게 정확한 위치와 상태를 동시에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실험에서 고양이의 상태를 알려면 상자를 열어야 하지만, 그렇게 되면 고양이의 상태가 변화하게 되어 확실한 예측이 불가능해집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양자역학에서는 불확정성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2. 측정의 중요성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은 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실험에서는 우리가 고양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자를 열어야 합니다. 측정은 양자 시스템의 상태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이렇게 측정이 이루어지면 시스템의 상태는 결정됩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1. 현실과 이론 사이의 괴리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은 현실과 양자역학의 이론 사이에 괴리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양자역학은 아주 작은 입자들의 세계에서는 매우 정확하게 예측되는 이론이지만, 큰 물체나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이론이 이상하고 불가능해 보이는 현상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물리학과 철학의 상관 관계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은 물리학과 철학 사이의 깊은 관련성을 보여줍니다. 양자역학의 이론과 실험 결과로부터 유추되는 개념적인 논의들은 과학적인 이론 뿐만 아니라 철학적인 고찰과 함께 이해되어야 합니다.

 

 

 

3. 우리의 한계

 

실험은 우리의 한계를 보여줍니다. 현대 물리학은 아주 작은 입자들의 세계에서 매우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예측이 큰 물체나 일상적인 상황에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세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아직도 많은 한계와 미지의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으로부터는 양자역학의 불확정성과 측정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으며, 현실과 이론 사이의 괴리와 물리학과 철학의 상관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과학자들 조차도 양자역학에대해, 알고는 있지만 이해는 되지 않는, 이해가 되더라도 납득이나 설명되 하기 힘든 분야라고 합니다. 

이 실험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아직도 해결해야 할 많은 의문과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